|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android designsystem
- 프로토타입 패턴
- Kotlin
- material3
- Functional Programming
- 코루틴
- 싱글톤
- PrototypePattern
- 디자인패턴 #
- 디자인패턴
- 옵저버 패턴
- Singleton
- ㅓ
- ㅋㅁ
- Abstract Factory
- define
- Design Pattern
- 팩토리 메소드
- 추상팩토리패턴
- 빌터패턴
- designPattern
- Observer Pattern
- 안드로이드 디자인시스템
- 코틀린
- factory method
- builderPattern
- 함수형프로그래밍
- compose
- 추상 팩토리
- Coroutines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38)
오늘도 더 나은 코드를 작성하였습니까?
1. 코루틴의 정의Coroutine- co-(함께)와 routine(루틴)의 합성어로, 여러 루틴이 협력(cooperative)적으로 실행을 제어하는 프로그래밍 패턴 코루틴은 실행을 일시 중지했다가 다시 재개할 수 있는 협력 루틴으로, 복잡한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간소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인 서브루틴(subroutine)과 달리, 실행 흐름을 협력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자원 관리와 코드 간결화를 가능하게 한다. 스레드 내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량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여러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동시성(concurrency) 처리 방식입니다 2. 일시 중지했다가 다시 재개할 수 있는 협력 루틴코루틴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인 함수(루틴)의 실행..
core:data비유: "데이터 계층의 총괄 지휘자" 또는 "앱의 최고 데이터 책임자(Chief Data Officer)"역할: 이 모듈은 앱의 데이터에 관한 모든 정책을 결정하고 실행하는 심장부입니다. '단일 진실 공급원(Single Source of Truth, SSOT)' 원칙을 구현하는 책임을 지며, 상위 계층(도메인, 기능)에 깨끗하고 일관된 데이터 API(Repository)를 제공합니다. 어떻게 지휘하는가? 데이터 동기화: core:network(레벨 1)를 호출하여 서버로부터 최신 데이터를 가져옵니다.데이터 캐싱: core:network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core:database(레벨 1)를 사용하여 로컬 DB에 저장(Upsert)합니다.데이터 제공: 상위 계층에서 데이터를 요청하면, ..
레벨 1 모듈들의 공통적인 설계 철학: "기술의 캡슐화"core:database: 로컬 데이터베이스(Room) 관리.core:network: 원격 서버(API) 통신 관리.core:datastore: 사용자 설정 등 간단한 데이터(DataStore) 관리.core:notifications: 시스템 로컬 알림 생성 및 게시.core:testing: 공통 테스트 유틸리티 및 도구 제공. core:ui비유: "조립식 가구 제작소 (Pre-fabricated Furniture Workshop)"역할: 레벨 0의 core:designsystem(나사, 나무판자, 페인트)과 core:model(설계도)을 가져다가, 앱 전체에서 재사용할 수 있는 의미 있는 UI 조립품을 만듭니다. designsystem이 원자적인 ..
'Now in Android' 앱의 멀티모듈 구조는 구글의 공식 Android 앱 아키텍처 가이드를 따르고 있습니다. 이 가이드는 **클린 아키텍처(Clean Architecture)**의 원칙과 유사한 부분은 많지만,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습니다.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도메인 계층(Domain Layer)의 의존성:클린 아키텍처에서는 도메인 계층(비즈니스 로직)이 다른 어떤 계층(데이터, UI 등)에도 의존하지 않고 가장 독립적이어야 합니다. (의존성 역전 원칙, DIP)**구글 공식 가이드 (Now in Android가 따르는 구조)**에서는 도메인 계층이 선택 사항이며, 존재하더라도 일반적으로 데이터 계층에 의존합니다. (UI → (선택적 도메인) → 데이터 의존성 흐름)도메인 계층의 필수 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