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Observer Pattern
- r
- 팩토리 메소드
- ㅋㅁ
- designPattern
- factory method
- 프로토타입 패턴
- PrototypePattern
- 코틀린
- Design Pattern
- 디자인패턴
- 추상 팩토리
- 함수형프로그래밍
- F
- 빌터패턴
- Abstract Factory
- Kotlin
- 싱글톤
- 디자인패턴 #
- ㅓ
- 옵저버 패턴
- El
- a
- Functional Programming
- 추상팩토리패턴
- builderPattern
- Singleton
- Today
- Total
목록기타 (5)
오늘도 더 나은 코드를 작성하였습니까?

정의함수형 프로그래밍(functional programming) 은 자료 처리를 수학적 함수의 계산으로 취급하고 상태와 가변 데이터를 멀리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의 하나이다. 명령형 프로그래밍에서는 상태를 바꾸는 것을 강조하는 것과는 달리,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함수의 응용을 강조한다. 일단,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살펴보기전에, 명령형 프로그래밍과, 선언형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알아보자! 명령형 프로그래밍- 프로그램이 상태와 상태를 어떻게(HOW TO) 변경시키는 지 명령들을 순서대로 써 놓은 것이다 선언형 프로그래밍- 프로그램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나타내기보다 무엇(WHAT)과 같은지를 설명하는 경우에 "선언형"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서 1-10의 정수에서 짝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가정해보자! 명..

Open ID Connect의 개념OpenID는 비영리 OpenID Foundation에서 추진하는 개방형 표준 및 분산형 인증 프로토콜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End-User)는 제3자의 ID 공급자(IDP) 서비스(예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를 사용하여, 협력 사이트(RelyingParty -RP 사용자의 인증을 필요로하는 웹사이트)에서 인증을 받을 수 있으므로 자체 로그인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귀찮은 개인 정보 입력을 통한 회원가입 절차를 생략할 수 있어서 OpenID Connect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서비스 이용 가능하다. 개발자 입장에서도 새로운 사용자를 유치하는데 있어 진입장벽을 낮춰줄 뿐만 아니라, 인증(Authentication)의 역활을 ID 공급자(IDP)에게 위임..
Authentication(인증) vs Authorization(권한 부여, 허가) OAuth 2.0 (Authorization) - 사용자가 자신의 Resource에 API를 통한 이용 대하여, Client(Third-party Application)에게 권한을 부여해 주기위한 프로토콜 OpenID(Authentication) - Who are you? -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하고 사용자 기본 정보 에 대한 접근 -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확인하는 인증자체에 목적을 둔 프로토콜 https://developers.google.com/identity/openid-connect/openid-connect OAuth 2.0를 준수하여, 권한을 부여 받기 위해서는, Authentication(인증) 단계가 먼저 ..

OAuth(Open Authorization)의 개념 OAuth 2.0은 인증을 위한 업계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OAuth 2.0은 웹 애플리케이션,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휴대폰 및 거실 장치에 대한 특정 인증 흐름을 제공하는 동시에 클라이언트 개발자 단순성에 중점을 둡니다. OAuth는 User(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사이트(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트위터) 상의 자신들의 정보 및 자원을 사용함에 있어, 현재 이용하고 있는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게 접근 권한을 부여(granted Access)할 수 있는 공통적인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접근 위임을 위한 개방형 표준이다. 이 매커니즘은 여러 기업들에 의해 사용되는데, 이를테면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